혜안/coup de grace

IAA 응용 - 브랜드 전략 5회차

Kate.J 2014. 3. 28. 21:55

 

브랜드전략 5회 차

10 11

 

 

마케팅 = 가치교환의 과정

브랜드 = 가치를 담는 그릇

 

삼성 지펠이냐 지펠이냐 지펠아삭이냐

브랜드 이론을 시장에 적용하는 것은 매우 어려움

시장의 다이내믹스와 호흡하는적절한 전략이 필요함(경쟁적 관점*)

 

 

 

 

1. 브랜드전략의 실제 첫 번째 시간

 

   가치제안 : 얼마나 경쟁력 있는 가치를 제안할 것인가가치구성의 문제

   고객이 추구하는 가치는 다시 말하면 경쟁적 관점에서 교환될만한 가치를 말함

 

   경쟁적 관점*

   Segmentation Targeting Positioning(다만포지셔닝은 가치인식에 가까움)

   누구와 가치교환을 할 것인가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함

 

 

 

 

2. Segmentation

 

  1) What is Segmentation?

     하나의 시장을 상이한 수요탄력성을 지난 여러 개의 시장으로 인식하는 것

 

  2) 수요탄력성은 인구통계학적 특징과 다르다(편의적으로 인구통계학적 특징을 쓸 뿐이다)

  잡지의 수요층특정모델의 수요층이 20대로 같을 수 있으나

  그들이 추구하는 가치는 다를 수 있다.

 

  3) 수요탄력성은 추구하는 가치 혹은 열망과 비슷하다.

     * Trading-up현상

       실제 개인이 가진 경제력 보다 높은 수준의 소비가치있는 것을 구매하는 경향 

 

  4) 한정된 자원경쟁자욕구의 다양함 때문

     문제는 하나의 가치로 다양한 욕구를 동시에 만족시킬 수 없다는 것이다.

     So, Targeting!

 

 

 

3. Targeting

    즉가장교환하기에 좋은 욕구의 그룹을 결정하는 것이 Targeting이다.

 

  1) 기준 

    첫번째가치를 수용할 가능성이 많은 욕구 (가치교환이 잘 될 것 같다)

    두번째교환할 만한 규모를 갖춘 욕구 (시장의 가능성)

 

  2) 예: 백세주 

    ① 시장상황 : 할아버지용 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but, 대중주가 되고 싶다(술집에서 잘 팔리는)

    ② 시장을 여러 그룹으로 나눈다(Grouping, Clustering - 즉, Segmentation)

        > 술에 대한 태도를 기준으로 한 주류소비자의 인식 축

           - 음주에 있어서 무엇이 중요한가? 술의 격 vs 안주메뉴

           - 무엇을 생각하며 술을 마시는가? 술자리 vs 건강, 몸

           - 술은 무엇으로 구분하는가? 도수 vs 가격

        > 뇌, 심, 설, 면, 수, 복

    ③ 우리의 방향은 뇌파와 면파 사이(Targeting)

        > 왜? 경쟁사가 없어 진입이 쉽고 소비자들과의 가치교환이 쉬운

    ④ 그 결과

        > 광고캠페인: “시작은 백세주로”

          (비싼 가격에 대한 장벽을 없애주는/ 면파들의 체면 살리기)

          고급스러운 고기집에서 화이트 칼라들이 마시는 술

        > 성공가도를 달리며 오십세주라는 신 풍속 탄생

        > 소주와의 경쟁을 해보자는 욕심이 생김

          광고캠페인: “좋은 술로 끝까지”

        > 술자리 분위기 때문에 마시는 심파들에게서 소주시장을 무너뜨릴 수 없었고

          젊은 나이층은 소맥을 마시게 되면서 백세주 시장 침체

        > 즉, 스스로 가치교환 될 수 있는 가능성을 버린 것 

          지나친 욕심으로 하여금 타깃에게 반드시 백세주여야 하는 가치를 상실함

 

  3) 시장규모와 시장기회가 일치하지만은 않는다

        > 예: Honda 오토바이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 대형오토바이(500cc이상)들의 세계였던 미국 오토바이 시장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 125cc 소형오토바이 시장으로 진입(경쟁이 적고 수요는 많은)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시장크기가 커지면서 성공함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소형은 자동차의 보완제였고, 대형은 자동차의 대체체였음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 대형오토바이는 매니아 시장으로 형성됨(할리데이비슨) 

    ① 시장기회가 높은 곳으로 가라!

         > 예: 훼럼포라 “임신 3개월부터 출산까지”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임산부가 먹어도 될 만큼 안전해 보인다는 이유로 일반여성시장까지 확대가능

    ② 커뮤니케이션 타겟과 마케팅 타겟이 반드시 같아야 하는 것은 아니다.

         > 예: 영어선생님교육학원 “댁의 선생님, 제대로 가르치고 계십니까?”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저 학원을 찾아가는 선생님은 실력이 모자란 선생님으로 비춰질 가능성이 있음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그래서 “부모님, 자녀의 영어선생님이 oo출신인지 확인해보세요”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제 3자의 영향자로 하여금 타깃을 강제하는 것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마케팅 타깃과의 가치교환을 위해 커뮤니케이션 타겟을 이용함

        > 비슷한 예로

           세스코멤버스 (커뮤니케이션 타겟-소비자, 마케팅 타겟- 업주)

           인텔 (커뮤니케이션 타겟-일반소비자, 마케팅 타겟 - 컴퓨터회사)

 

 

 

4. Positioning

 

  1) 누구와 어떻게 경쟁할 것인가?

    Brand Identity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  속성    기능적편익    정서적편익    자아표현적편익   기대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Brand Image

    ① 켈러는 Strong/Favorable/Unique 한 연상이 중요하다

    ② but, 경쟁사도 같은 것을 추구함(경쟁적 관점*)

 

  2) Basic idea

     ① 마케팅은 인식의 싸움이다(perception is reality)

     ② 뚫린 폐곡선 → 수용되는 정보는 지각되는 과정에서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기존정보의 영향을 받아 왜곡될 수 있다

     ③ 소비자 마음속에 소비자가 설치한 사다리가 있다(Category, Hierarchy, Consistency)

            > 필립코틀러 曰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“포지셔닝이란 고객의 마음 속에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의미 있고 경쟁적이고 독특한 자리를 차지하도록 하는 것”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결국 켈러의 말과 같다...(Strong,Favorable,Unique)

 

  3) Positioning 기초

     ① “최초”

         사다리를 만들어 맨 윗자리로 가기

         카테고리 대명사(포스트 잇, 스카치 테잎)

     ② But, 최초 외에는 없을 수 있다.

         mpman, D2니어워터 → 정체성 모호

         어떤 가치를 줄 것인지 명확하게 파악한 후 할 것

     ③ 사다리의 순서는 쉽게 qkRNl지 않는다. 

         단순한 자리가 아니라 사다리 자체의 가치기준을 장악하기 때문에

     ④ 새로운 작은 사다리의 주인공이 되기

         새로운 가치로 무장해서, 그 작은 사다리의 주인이 되고 그 사다리를 키워라

         예: 미원 vs 미풍, 미원 vs 다시다

     ⑤ 경쟁자와 나의 관계를 새롭게 디자인 하는 것이 Positioning

         예: 휴대폰시장

             이동하면서 통화할 수 있는 전화 시장(모토로라) → 한국지형에 강하다(애니콜)

             소비자의 기존 정보에 의한 왜곡 수용이 가능했기 때문임

         예: 대한생명CF “새로운 흐름”

             삼성과 나머지 시장 → 삼성,대한대 나머지(새로운 대안제시)

             에이비스 캠페인과 비슷 (1,2위 싸움 vs 2,3위 싸움dml 인식)

             소비자의 정보처리 방식을 이용한 절묘한 포지셔닝(2위는=1위의 라이벌)

             결과는 실패 왜?

             돈에 관련된 상품이기 때문에(믿을만한, 이왕이면 1등), 가입 장벽이 높기 때문에

             즉 카테고리가 달라서

 

  4) Positioning의 진짜 의미

     ① 포지셔닝은 기존의 소비자 인식을 이용하는 고도의 마인드게임이다

         포지셔닝은 절대적인 자리가 아니고 경쟁관계 내 상대적인 자리이다

         “자리게임”

     ② 포지셔닝이란 우리 브랜드와 경쟁자의 관계를 우리에게 유리하게 디자인해주는 것

     ③ 소비자의 기존 인식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함

         → “I`m your father” 다스베이더

 

  5) Positioning process

      정보 → 지각 → 처리* → 저장

      ① 처리: 타 브랜드의 정보를 포함한 기존 정보와의 결합 및 조정

          저장: 마치 자리가 생기듯이(포지션) 새로운 관계로 기억되는 것

      ② 우리가 흔히 부르는 포지셔닝 맵은 이미지 분포도 임

           > 소비자 인식 속에는 축이 존재하지 않는다

           > 브랜드를 위한 절대적 공간이 없다

           > So, 빈자리로 들어가는 것이 아니라 관계를 바꾸는 것이 포지셔닝이다

      ③ 포지션이 변한 것은 관계가 변한 것이다.

          포지셔닝 전략은 브랜드의 관계 변화!!!!

      ④ 상대의 열세를 더욱 쉽게 연상시킬수록 효과적이다

          예: 준비된 대통령, 세균없는 침대, 30분안에 배달되는 피자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 녹즙기, 파스퇴르 우유(부정적 아젠타 셋팅의 위험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