IAA 응용 - 브랜드 전략 2회차
브랜드 전략 2회차
9월 29일
Brand Identity & Brand Image
- 키워드는 경쟁적 가치
1. Brand Identity & Brand Image
1) 브랜드 전략의 출발점. 기준이나 좌표
2) Brand Identity : 기업, 전략적으로 기획된
Brand Image : 소비자, 축적된 경험의 합, 소비자 연상의 합
Brand Identity와 Brand Image사이의 GAP을 최소화 하는 것이 브랜드 관리
3)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만들때는 요리사처럼 좋은재료를 가지고 좋은 음식을 만들듯이
브랜드 이미지를 평가할때는 의사처럼 냉철하고 분석적으로
4) 기업 → 브랜드 → 소비자
가치제안 그릇 가치인식
(value proposition) (perception)
브랜딩 커뮤니케이션
2. Brand Identity
1) 브랜드 아이덴티티 재정립이 필요한시점
- 기업구조의 변화
- 경쟁구도의 변화
- 고객특성의 변화
- 브랜드에 대한 지속적 비선호
- 일관되지 못한 정체성
- 새로운 시장진입 즉, 소비자와의 가치교환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될 때.
2)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구성요소
- Brand Essence 브랜드의 본질. 브랜드를 상징하는 한마디
- Core Identity 브랜드의 핵심적 가치와 개념 (시간을 초월하는 것)
- Extended Identity 구체성과 완전성을 구현하는 보조요소들 (시간에 따라 변함)
예) SK : 행복 / 자부심, 전문가... /...
나이키 : 승리 / 최고, 기술우위... / JUST DO IT, 스워시심볼, 오레건 전통
버진 : 인습타파 / 최고의 서비스, 재미와 즐거움, 혁신을 통한 가치창조 / 유머, 브랜슨(PI)
3) Brand Identity 요리하기 하나. 재료고르기
- Identity 분석 : ① customer 유행, 동기, 미충족욕구, 목표시장세분화 등
② competitor 브랜드 이미지, 아이덴티티전략, 브랜드포지션, 강점과 이점
③ corporate 현재 브랜드 이미지, 브랜드의 전통, 강점, 조직의 가치와 인식
- Identity 요소 : ① 제품으로서
제품의 적용범위고려 (경쟁자는 어디까지 인가?),
제품의 품질과 가격,
제품의 사용상황 고려(TPO, 가치를 선명하게 해줌),
사용자 고려(브랜드 개성),
원산지 고려(문화마케팅, 보성녹차, 순창고추장)
② 조직으로서
특성, 혁신성, 기업문화, CEO철학
③ 사람으로서
인격화된 브랜드 이미지 활용
④ 상징으로서
시각적 상질물, 은유, 브랜드 전통
4) Brand Identity 요리하기 둘. 그릇에 담기
- 무엇을 담는다? 가치를
즉, 그릇에 담는다 = 가치를 제안한다(Value Proposition)
- ① 기능적 편익 : 제품상의 특성, 유용성
② 정서적 편익 : 긍정적인 감정 제안
③ 자아표현적 편익 : 개인의 자아개념을 표현해주는 상징
3. Brand Image
1) Brand Equity 브랜드 이미지에는 자산적 가치가 있다
① 브랜드 인지도 (brand awareness)
- 인지의 양이 많거나, 기억의 강도가 강할수록, 단순노출효과(mere exposure effect)
- 보조상기도(recognition) : OO이라는 브랜드를 아느냐?
비보조상기도(recall) : 라면브랜드 중에서 아는 것을 다 대시오
최초상기도(top of mind) : 비보조상기도를 물었을 때 제일 처음 대답하는 브랜드
② 브랜드 충성도 (brand royalty)
- 새로운 고객을 잡는 데 드는 시간과 비용으로, 기존고객 5명에게 사용가능함
- 경쟁자의 공격에 대비해 시간적 여유를 가질 수 있음
③ 지각된 품질(percieved quality)
- 구매동기의 근거, 차별화의 근거, 가격프리미엄의 근거, 브랜드 확장의 근거
④ 브랜드 연상 (brand association) :
- 떠오르는 것이 많거나, 연상이 호의적일때 고객과의 관계가 강함
- 켈러는 브랜드 연상이 Strong, Favorable, Unique 해야 한다고 말함
2) 브랜드 인지도에서
- Brand recognition이 높으나 Brand recall이 낮은경우 Graveyard brand라 함
가치부여를 통해 브랜드 Refresh가 필요함
- Brand recall이 높으나 Brand recognition이 낮은경우 niche brand라 함
마니아들을 대상으로 함, 혹은 B2B